학령기 자녀들을 위한 FM 시스템 가이드
학령기 자녀를 두신 부모님께서는 FM 시스템 이라는 단어를 심심찮게 들어보셨을꺼라 생각합니다.
FM 시스템을 처음 접하는 대부분의 부모님들은 '비싸요!! 모르겠어요. 어려워요!!' 라고 이야기를 하십니다.
각 회사별로 다양하게 출시가 돼 있어서 종류가 많다보니 이야기를 들어도 '이게 몬 말인지..' 헷깔리고 어렵고..
장비 가격도 고가인지라 쉽게 접근하기 힘든게 현실입니다.
이 글은 FM 시스템에 대해 전반적으로 설명하고 있습니다.
일단은 내용이 깁니다 ^^;; 그리고 어렵게 느껴질수도 있을꺼에요.
하지만 부모님들께서는 꼭 알고 계셔야 할 내용들 입니다.
이미지도 많이 넣고 설명도 최대한 쉽게 하려고 했습니다.
이해가 잘 안되시더라도 열번, 백번 읽으세요.. 그렇게 해서 외우세요.
저는 인공와우 이식자로 관련 분야 전문가가 아닌 일반인 이기 때문에 잘못된 정보가 있을수 있습니다.
수정해야 할 부분이 있는 경우 알려주시면 내용 검토후 수정 반영 하겠습니다.
http://my-xfile.tistory.com/12
이 글은 여러곳에 포스팅 되어 질수 있지만 블로그 글이 최우선으로 갱신됩니다.
자유롭게 퍼가실수 있지만 내용 변경은 하지 말아주세요.
(퍼가실때는 이 내용 부분까지 같이 퍼가 주세요.)
※ 본 게시물은 메델 인공와우 사용자모임 '메델리안' (http://cafe.naver.com/medelrian) 에 게시 목적으로 2017년 3월 작성 되었습니다.
먼저 두가지 개념만 설명하고 시작 하겠습니다.
FM 시스템이란? (Frequency Modulation System)
화자가 착용하고 있는 송신기에서 나온 소리를 주파수 변조를 통해 청자가 착용한 수신기에 전달하고 이 신호를 증폭해서 청자가 좀더 잘 들을수 있게 도와 주는 보조장치 입니다.
어려운가요? ^^
FM 라디오는 잘 아실꺼라 생각합니다.
방송국에서 음향 시스템을 통해 방송을 송출하면 댁내에서 라디오수신기를 통해 청취가 가능합니다. 이게 FM 시스템입니다.
회의장의 동시통역기, 가정에서 흔히 사용하시는 무선 헤드폰 등도 FM 시스템의 응용사례라고 생각하시면 됩니다.
티-코일(Telecoil)
모든 전기 신호는 자기장을 동반합니다.
소리의 전기 신호 또한 마찬가지입니다.
티-코일은 소리의 전기 신호에 따라 발생된 자기장의 변화를 어음처리기 내에 있는 코일에 유도시키고
어음처리기 내에서 이 자기장의 변화를 소리로 변환시키는 방식을 이야기 합니다.
상호 유도작용의 원리를 이용한 방식이에요.
아래의 이미지를 한번 보시죠..
(이미지 출처 : Medel US)
지금부터 이야기할 FM 시스템은 이미지의 1번 텔레코일 방식과 2번 와이어리스 리시버 방식 두가지 내용 입니다.
서울에 있는 11개 특수교육 지원센터에 알아본 결과 보청기 전문회사 포낙社(PHONAK) 의 FM 시스템 장비를 사용한다고 하는데
이 장비들을 이용해서 메델의 인공와우에 FM 시스템을 적용하는 방법을 설명할 것입니다.
(현재 로저Roger 시스템이 사용되고 있습니다.)
사실 포낙 이외 타회사 장비들도 좋은 제품들이 많습니다.
그리고 각 인공회사별로 전용 무선 악세사리도 내 놓고 있고 해서 방법만을 따지자면 무궁무진 합니다.
하지만 여러분들께서 특수교육 지원센터에 가면 접하게 되는 장비들을 기준으로 이야기를 진행하게 됐으니 내용이 부족하더라도 감안하셔서 보셨으면 좋겠습니다.
FM 시스템이 필요한 이유
(이비지 출처 : 다산청능재활연구원)
멀리 떨어진 곳에서 소리가 나거나 소음이 많은 환경에서는 청취가 어렵습니다.
이는 건청인 난청인 관계없이 적용되는 팩트입니다.
또한 소리를 잘 듣기 위해서 보청기를 착용하거나 인공와우 이식을 했더라도 개인마다 듣기 능력은 천차만별로 다를수 있습니다.
보조기기 없이도 어디서나 잘 들을수 있으면 그것처럼 좋은일은 없겠죠.
하지만 난청인들의 현실은 그렇지 않을수도 있기에..
하나라도 놓치지 않고 듣기를 간절히 열망하기에..
다른건 둘째치고 학교수업에서 만큼은 듣기가 많은 비중을 차지하기에..
조금이라도 도움 받을수 있는 FM 시스템을 이용하는 것입니다.
FM 송신기 종류
송신기에는 로저 인스파이로, 로저펜, 로저 클립온 마이크 3종류가 있으며
송신기 기능 뿐만 아니라 다양한 기능이 있고 활용성이 뛰어나며 휴대/착용이 간편한 로저펜을 최근 가장 선호한다고 합니다.
구형 수신기 제품은 인스파이로, 마이링크+, 줌링크+ 등이 있습니다.
(이미지 출처 : 다산청능재활연구원)
FM 수신기의 종류(중요)
송신기와 수신기는 모두 와이어리스 다이렉트로 연결이 되는 방식이지만
수신기 - 인공와우 의 연결 방식에 따라 로저X 와 로저 마이링크 두가지로 나눌수 있습니다.
구형 수신기 제품에는 MLxi, 마이링크 등이 있습니다.
(이미지 출처 : 다산청능재활연구원)
로저X 는 EA(euro audio port) 3핀규격에 맞게 제작된 수신기 입니다.
OPUS2 나 SONNET 의 FM 배터리팩 커버를 이용하여 배터리팩 아랫부분에 끼워 사용합니다.
RONDO 도 로저X 를 사용할수는 있습니다.
하지만 RONDO 의 경우는 본체에 EA 단자가 없기 때문에 미니배터리팩을 사용해야만 배터리팩에 있는 EA 단자를 활용할수가 있습니다.
이렇게 할 경우 머리에 부착한 RONDO 에서 선이 주렁주렁 달리게 되죠 ^^;;
(이 글 맨처음에 있는 이미지의 3번 처럼요..)
일체형 어음처리기인 RONDO 의 장점을 전혀 활용하지 못하게 되는 겁니다.
암튼..
OPUS2, SONNET, RONDO 모두 위에 설명된 제품들을 조합해서 각자의 환경에 맞는 FM 시스템을 구성할수 있습니다.
-2017년 11월 8일 추가-
Medel SONNET 은 포낙 FM SYSTEM 전용 수신기인 로저 21 이 출시 되었습니다.
직접 테스트
단순히 그림만 가지고 설명을 하는것 보다는 직접 들어보고 말씀 드리는게 좋을것 같아서 업체에 방문해서 제품 테스트 겸 청음을 해 봤습니다.
위에 열거한 기기들 전부를 하지는 못했구요..
송신기(로저펜) - EA 수신기(로저X) 와 티-코일이용 수신기(로저 마이링크) 두가지를 테스트 해 볼수 있었습니다.
아래는 직접 찍어온 사진들 입니다. 폰카임을 감안해 주세요 ^^;;
로저펜
SONNET 일반 배터리커버와 FM 배터리팩 커버, 로저X 장착모습
로저 마이링크
1. 로저펜 - 로저X 연결
SONNET 에 FM 배터리팩 커버를 사용해서 로저X 수신기를 사용해 봤습니다.
송수신기와 다이렉트로 연결되고 수신기와 어음처리기도 다이렉트 방식이고 화자의 말소리를 또렷하게 들을수 있었습니다.
어음처리기 일반모드(M모드) 를 사용하므로 별도의 리모컨을 조작이 필요 없습니다.
(송신기에서 들려오는 소리 + 주변 소리 모두 청취 가능)
테스트 거리는 약 10m 정도였습니다. (유리벽 포함)
아주 먼거리 까지 테스트를 해 보지는 않았지만 기기 스펙을 봤을때 그 이상에서도 잘 작동하지 않을까 생각됩니다.
아이들이 학교에서 놀다가 로저X 를 분실했다는 이야기를 들은적이 있어서 FM 배터리팩과 로저X의 단자 체결상태를 확인해 봤는데 분실위험이 있을 정도로 헐겁지 않았습니다.
예상했었던 것보다 훨씬 굉장히 빡빡하게 체결이 되더라구요.
로저X 수신기는 어음처리기에서 전원 공급을 받는 형식이기 때문에 어음처리기 사용시간이 짧아지는 단점이 예상됩니다.
송-수신기 연결시 알림음을 들을수 없었기 때문에 송-수신기 페어링이 잘 됐는지 확인이 어려웠습니다.
(테스트시 연결불량이 의심되서 한두번 어음처리기 전원을 껐다 켰다 반복했습니다)
-특징
완벽한 다이렉트 시스템이며 별도의 리모컨 조작이 필요 없음.
RONDO 에서는 미니배터리팩 사용이 필수이므로 추천하지 않음.
FM 배터리팩 커버 구매비용 발생.(OPUS2)
어음처리기 배터리 사용시간이 짧아짐.
페어링이 잘 됐는지 확인 어려움.
2. 로저펜 - 로저 마이링크 연결
RONDO 에 로저X 수신기를 사용하면 선이 주렁주렁 달리게 된다고 앞서 말씀 드렸습니다.
로저 마이링크는 목걸이형 방식이며 수신기 - 어음처리기 간의 통신이 티-코일 이라서 RONDO 사용자도 선없이 깔끔하고 편안하게 이용 가능합니다.
(로저펜 - 로저 마이링크 의 통신은 다이렉트 / 로저 마이링크 - 어음처리기의 통신은 티-코일)
2시간 충전으로 10시간을 사용할수 있다고 하고 어음처리기의 배터리를 이용하지 않습니다.
로저X 를 사용할때 보다는 음질이 약간 떨어지지만 마이링크 사용시도 화자의 대화를 또렷하게 들을수 있었습니다.
수신기의 볼륨버튼을 이용해 볼륨조절이 가능합니다.
송-수신기 연결, 볼륨 조절등 을 할때 비프음을 들려줍니다.
(어음처리기에서 신호음이 들렸고 이에 작동 확인이 가능했습니다)
티-코일 방식의 특성상 주변 환경이나 자기장의 영향을 받을수 있습니다.
리모컨을 이용해서 어음처리기 모드를 MT 또는 T 로 변경해 줘야 합니다.
(MT 모드에서는 송신기에서 들려오는 소리 + 주변소리 모두 청취 가능하고 T 모드 사용시는 송신기에서 들려오는 소리를 제외한 모든 소리를 차단합니다.)
목에 걸고 있는 줄에서 티-코일 신호가 나오기 때문에 목줄이 움직이거나 위치가 변하면 약간의 소리 변화가 생길수 있습니다.
-특징
수신기를 목에 거는 방식으로 별도 부품 구매 없이 메델의 모든 사용자가 이용 가능함. (티-코일 방식)
RONDO 사용자도 간편하게 이용할수 있음.
충전방식의 수신기. 2시간 충전으로 10시간 사용 가능.
작동시 신호음이 발생해서 조작 또는 상태 파악이 용이함.
어음처리기 모드 변경에 따른 리모컨 조작이 필요함.
로저X 사용시보다는 약간의 음질저하가 있음.
주변 환경의 자기장 영향을 받을수 있음.
목줄 위치에 따른 소리 변화가 발생할수 있음.
마치며..
위에 설명된 것들은 특수교육 지원센터에서 접할수 있는 FM 시스템 제품 중 현재 판매되고 있는 최신 기기들입니다.
이전 버전의 제품들도 접해보고 싶었지만 업체에 비치가 되 있지 않아서 어쩔수가 없었습니다.
하지만 이전 기기들도, 인공와우 3社의 악세사리들도.. 방식, 사용법 모두 큰 차이가 없습니다.
제조사에서 다이렉트 무선 악세사리를 내 놓으면 그걸 사용하는게 가장 좋겠죠 ^^
하지만 아직까지 메델은 인공와우에 적용되는 다이렉트 무선 악세사리를 출시하지 않았습니다.
그리고 악세사리가 나오더라도 최신 어음처리기 부터 적용이 되기 때문에 구형 어음처리기 사용자에겐 도움이 안되는 문제가 있습니다.
이미 악세사리를 출시한 타 인공와우 회사들의 상황도 다르지 않거든요..
이런 저런 이유 때문에 알아보고.. 테스트 해 보고.. 했네요.
특수 교육센터를 통해서 대여받아 학교에서 사용할수 있는 FM 시스템과 제품에 대한 이야기 일뿐 위에 열거한 제품들의 모든 기능을 이야기 해 드리지는 못할것 같아요.
거듭 강조해서 말씀 드리지만 이전 제품들도 이름만 다를뿐 적용 방식은 다 똑같습니다.
이전 기기를 대여받으시게 되더라도 절때 당황하시지 마세요 ^^
아는 만큼 보인다는 말이 있습니다.
내 아이의 어음처리기 환경에 맞는 최선의 선택이 무엇인지.. 여러번 읽어 보시고 자신있게 결정하셨으면 해요.
위에 테스트해 본 몇가지 제품들은 대여가 가능하지만 모두 제품당 100만원 이상의 고가의 기기들입니다.
부담 스러운 가격으로 인해 직접 구입을 못하고 대여받아 조심스럽게 사용하고 있는게 우리 현실이죠..
각 제조사에서 보다 나은 무선 청취 보조기기들을 저렴한 가격에 공급하는 날이 하루빨리 오길 기대하면서..
긴 이야기 마치겠습니다.
감사합니다.